안녕하세요, 에듀온탑입니다.
등가교환의 법칙이라는 말을
들어보신 적이 있으실까요?
등가교환의 법칙은 동일한 가치를 갖는
두 상품을 교환하는 법칙을 뜻하는데요.
자본주의 사회가 되면서 이러한
등가교환의 법칙이 운영이
되고는 있으나 간혹 이 법칙을 어기는
부등가교환의 법칙이 성립되는 경우도
생겨나는 것을 볼 수가 있습니다.
오늘은 등가교환의 법칙 사례와
부등가교환의 법칙 사례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보겠습니다.
등가교환의 법칙 - 급여
자본주의 사회에서 등가교환의 법칙이
가장 잘 나타내는 것은 급여일텐데요.
생산수단을 보유하지 않은 근로자 및
노동자들은 회사나 공장 등에서
노동을 하고 노동의 대가로
일정량의 급여를 받게 됩니다.
본인의 노동력과 급여를 맞바꾼 대표적인
등가교환의 법칙이라 할 수 있습니다.
등가교환의 법칙 - 환전
해외여행 중 결제를 하기 위해서는
각 나라의 돈으로 환전을 해야만
결제를 할 수가 있을 것인데
달러, 엔화, 위안 등등 환율에 따라서
거래가 이루어지는 것 또한
등가교환의 법칙이라고 할 수가 있죠.
부등가교환의 법칙 - 노동착취
보통 본인이 일한 만큼이나
능력의 대가로 노동 급여를 받게 되는데
이때 급여가 지급이 되지 않았거나
노동 시간만큼이 아닌 덜 지급이 되면
부등가교환의 법칙이 성립이 됩니다.
부등가교환의 법칙 - 불공정무역
불공정무역의 대표적인 사례로는
개발도상국 노동자들에게
저렴한 급여로 노동을 시킨다거나
외국인들의 지적재산권을 침해하거나
교환이 불가능한 위반물품을 거래하는
행위가 부등가교환의 법치라고
할 수가 있습니다.
등가교환의 법칙 - 강철의 연금술사
등가교환의 법칙은 경제학 용어지만
만화, 애니메이션 강철의 연금술사의
세계관을 꿰뚫는 중요한 법칙 중 하나입니다.
사람이 무언가를 희생하지 않고는
아무것도 얻을 수 없다는 의미를 갖고있고
이러한 법칙과 반대되는
부등가교환의 법칙으로는 작중 등장하는
현자의 돌이라고 하는 아이템들이 있는데
이 현자의 돌을 가지고 있는 사람은
아무런 대가, 즉 등가교환의 법칙을 어기고
자유롭게 연금술을 사용할 수가 있습니다.
오늘은 등가교환의 법칙과
부등가교환의 법칙 사례들에 대해서
급여, 환원, 강철의 연금술사를
예시로 들면서 알아보았습니다.
안내드린 정보가 유익했길 바라며
앞으로 더 유익한 정보로
여러분들을 찾아뵙도록 하겠습니다.
'잡다한 이야기 > 일상 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센스있고 웃긴 건배사 추천 (0) | 2025.04.29 |
---|---|
인스타 1k, 1m 팔로워? 미국 숫자 단위 알아보기 (0) | 2025.04.29 |
로마자 표기 한글영어, 영어한글 표기법 규정 및 예시 (0) | 2025.04.28 |
일본 유학 시험, 2025년 EJU 시험 일정 및 과목 알아보기 (0) | 2025.04.25 |
수화통역사 자격증 시험 일정 및 과목 알아보기 (0) | 2025.04.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