잡다한 이야기/일상 상식

등가교환의 법칙, 부등가교환의 법칙 사례 알아보기

EDU ON TOP 2025. 4. 28. 17:16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에듀온탑입니다.

 

등가교환의 법칙이라는 말을

들어보신 적이 있으실까요?

 

등가교환의 법칙은 동일한 가치를 갖는

두 상품을 교환하는 법칙을 뜻하는데요.

 

자본주의 사회가 되면서 이러한

등가교환의 법칙이 운영이

되고는 있으나 간혹 이 법칙을 어기는

부등가교환의 법칙이 성립되는 경우도

생겨나는 것을 볼 수가 있습니다.

 

오늘은 등가교환의 법칙 사례와

부등가교환의 법칙 사례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보겠습니다.

 

등가교환의 법칙 - 급여

 

자본주의 사회에서 등가교환의 법칙이

가장 잘 나타내는 것은 급여일텐데요.

 

생산수단을 보유하지 않은 근로자 및

노동자들은 회사나 공장 등에서

노동을 하고 노동의 대가로

일정량의 급여를 받게 됩니다.

 

본인의 노동력과 급여를 맞바꾼 대표적인

등가교환의 법칙이라 할 수 있습니다.

 

등가교환의 법칙 - 환전

 

해외여행 중 결제를 하기 위해서는

각 나라의 돈으로 환전을 해야만

결제를 할 수가 있을 것인데

 

달러, 엔화, 위안 등등 환율에 따라서

거래가 이루어지는 것 또한

등가교환의 법칙이라고 할 수가 있죠.

 

부등가교환의 법칙 - 노동착취

 

보통 본인이 일한 만큼이나

능력의 대가로 노동 급여를 받게 되는데

이때 급여가 지급이 되지 않았거나

노동 시간만큼이 아닌 덜 지급이 되면

부등가교환의 법칙이 성립이 됩니다.

 

부등가교환의 법칙 - 불공정무역

 

불공정무역의 대표적인 사례로는

개발도상국 노동자들에게

저렴한 급여로 노동을 시킨다거나

외국인들의 지적재산권을 침해하거나

교환이 불가능한 위반물품을 거래하는

행위가 부등가교환의 법치라고

할 수가 있습니다.

 

등가교환의 법칙 - 강철의 연금술사

 

등가교환의 법칙은 경제학 용어지만

만화, 애니메이션 강철의 연금술사의

세계관을 꿰뚫는 중요한 법칙 중 하나입니다.

 

사람이 무언가를 희생하지 않고는

아무것도 얻을 수 없다는 의미를 갖고있고

 

이러한 법칙과 반대되는

부등가교환의 법칙으로는 작중 등장하는

현자의 돌이라고 하는 아이템들이 있는데

이 현자의 돌을 가지고 있는 사람은

아무런 대가, 즉 등가교환의 법칙을 어기고

자유롭게 연금술을 사용할 수가 있습니다.

 

 

오늘은 등가교환의 법칙과

부등가교환의 법칙 사례들에 대해서

급여, 환원, 강철의 연금술사를

예시로 들면서 알아보았습니다.

 

안내드린 정보가 유익했길 바라며

앞으로 더 유익한 정보로

여러분들을 찾아뵙도록 하겠습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