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근 뉴스나 정책, 세대 분석 콘텐츠에서
자주 등장하는 단어 중 하나가
바로 베이비부머입니다.
사실 베이비부머 세대는
대한민국의 산업화·도시화·경제 성장의
핵심 축으로 활약한 주역들이며
최근에는 은퇴, 고령화, 연금
부동산 이슈 등으로
다시 주목받고 있는 세대이기도 합니다.
오늘은 베이비부머라는 용어의 뜻과
세대의 유래와 배경
경제·문화적 특징과 사회적 영향까지
한눈에 정리해보도록 하겠습니다.
베이비부머 뜻과 의미

베이비부머(Baby Boomer)는
제2차 세계대전 이후 출산율이
급격히 증가한 시기에
태어난 세대를 말합니다.
직역하면 아기를 붐처럼 많이 낳은
시기’의 세대를 뜻합니다.
Baby(아기) + Boom(급증, 붐 현상)
미국을 기준으로 하면
1946년 ~ 1964년 출생자로
전쟁 후 평화와 경제성장 시기에 태어나
교육, 노동시장, 소비문화의
핵심이 된 세대이며
한국을 기준으로 하면
1955년 ~ 1963년 출생자로
6.25 전쟁 이후 산업화와
도시화가 빠르게 진행되던 시기로
한국에서는 베이비부머 세대가
국민의 절반을 먹여 살린 세대로 불리며
경제 개발, 교육 확대, 도시 성장의
핵심 인력이었습니다.
베이비부머 특징

1) 전후(戰後)세대로서의 역사적 배경
- 6·25 전쟁 직후 태어난 세대로
- 가난과 절약의 시대를 경험함
- 국가 경제 재건, 산업화, 도시화 중심에서 직접 성장
2) 교육 기회의 확대
- 국민 교육 의무화, 대학교육 대중화 시기와 일치
- 공부로 신분 상승 가능하다는 믿음이 강함
- 실제로 교사, 공무원, 대기업 사원으로 진출한 1세대
3) 산업화·경제 성장의 주역
- 1970~1980년대 경제개발 5개년 계획 중심 인력
- 제조업, 건설업, 수출 산업의 핵심 노동력으로 활약
- 내 손으로 나라를 일으켰다는 경제적 자부심 큼
4) 가족 중심적 가치관
- 전통적인 가부장적 사고방식을 다소 보유
- 자녀 교육과 성공에 집중, ‘내리사랑’ 세대
- 평균 자녀 수 2명 이상 → 자녀 중심의 삶을 살아옴
5) 부동산·노후 자산의 핵심 세대
- 부동산 투자의 주도층
- 1980~90년대 중산층 형성 및 주택 소유 확대 경험
- 은퇴 후 연금, 자산, 임대 수입 기반의 생활 추구
6) 은퇴 이슈와 고령화의 중심
- 대부분 정년 퇴직을 맞이한 세대로 노후 소득
건강, 고립이 주요 사회적 문제로 대두
- 재취업, 노인복지, 건강보험 등에서 핵심 타겟층
7) 디지털 전환에 대한 거리감
- 컴퓨터, 스마트폰 활용 능력은 세대별 격차 존재
- 최근엔 카카오톡, 유튜브 등 1차 디지털 적응 완료
- 그러나 디지털 금융, 온라인 행정 등에는
여전히 불편함 존재

오늘은 베이비부머 뜻과 유래
특징에 대해서 정리를 해보는
시간을 가져보았습니다.
안내드린 정보가 유익했길 바라며
앞으로 더 유익한 정보를 통해
찾아뵙도록 하겠습니다.
'잡다한 이야기 > 일상 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축의금 봉투 쓰는 법, 이름 위치, 금액 총정리 (0) | 2025.05.01 |
---|---|
서브웨이 꿀조합 및 메뉴추천 (0) | 2025.05.01 |
PEET 시험 폐지 후 약사 되는 법 (0) | 2025.04.30 |
비평문 쓰는 법, 작품 및 주제 선정과 서론 본론 결론 작성 방법 (0) | 2025.04.30 |
9급 공무원 시험 종류, 일정, 시간 총정리 (0) | 2025.04.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