잡다한 이야기/일상 상식

축의금 봉투 쓰는 법, 이름 위치, 금액 총정리

EDU ON TOP 2025. 5. 1. 19:47
반응형

 

안녕하세요, 에듀온탑 몰리쌤입니다!

 

요즈음 대학교를 졸업하고

이제 막 사회인이 되면서

진짜 어른이 되었구나 느끼는 경우 중 하나가

 

바로 지인들의 결혼소식을 들을 때가

아닐까 싶습니다!

 

그치만 다들 결혼식 갈 때

축의금 이름 위치는 어디에 쓰는건지

금액은 얼마를 해야 좋을지 몰라서

난감하셨던 분들 많으셨죠?

 

오늘은 축의금 봉투 쓰는 법부터

이름위치, 금액까지

총정리 해보는 시간 가져보겠습니다.

 

봉투 앞면에는?

 

봉투 앞면에는 가장 중심에

'축의' 혹은 '축결혼' 등과 같은

문구를 세로로 적어줍니다.

 

미리 인쇄된 봉투를 주었다면

따로 작성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직접 쓰게 될 경우에는

검은생 펜이나 붓펜으로 단정하게

적어주는 것이 좋습니다!

 

*빨간색은 금물*

 

봉투 뒷면에는?

 

왼쪽 하단에 '소속'과 '이름'을

세로로 적어주고

오른쪽에는 금액을 적어주세요.

 

*예시*

 

[왼쪽]

'OOO회사 김철수' (세로 작성)

 

[오른쪽]

금 100,000원 (한글 또는 숫자로)

 

[소속을 적는 이유]

같은 이름의 하객이 있을 수 있기 때문에

그냥 '김철수'가 아닌

'OO회사 김철수' 라고 적으면

바로 알아볼 수 있어

소속까지 적어주셔야 합니다.

 

봉투 접어야할까? 펼쳐야할까?

 

봉투는 접어서 내는 게 예의입니다!

 

봉투를 펼쳐서 낸다면

금액이 노출 될 수도 있기 때문에

봉투는 접어서 내주셔야 합니다.

 

돈 넣는 방법은?

 

결혼이라는 건 새 출발을 의미하니

돈은 무조건 새돈을 넣어주시는게

좋습니다!

 

지폐는 얼굴이 위로 오게,

큰 금액이 앞쪽으로 오게 넣는 것이

예의입니다.

 

금액은 얼마가 적당할까?

 

직장동료 결혼식은 3~7만원 정도

 

얼굴만 아는 관계, 직장동료,

평소에 연락을 잘 안 하는 관계 등은

보통 3만원, 5만원, 7만원, 10만원 등

홀수 단위로 많이 합니다.

 

식사 불참 시는 5만원 정도

예식장 참석 시에는 7~10만원 정도

(피로연 식대가 높다면 그 이상 금액을

해주시는 것이 좋습니다.)

 

 

오늘은 이렇게 축의금 봉투 쓰는 법과

이름 위치, 금액 등

총정리 해보는 시간 가져보았는데요

 

오늘 블로그가 도움이 되셨길 바라며

포스팅 마치겠습니다.

 

반응형